properties 파일을 이용한 다국어 처리 방식이다. 실습 ① 파일명_국가별언어코드.properties 작성 한국어 버전 #shop_ko.properties greeting=안녕하세요 greeting2={0},{1} 영어 버전 #shop_en.properties greeting=hello ② Bean Configuration xml 파일에 등록 반드시 id="messageSource" 경로 지정 시 파일명만 지정 ... ③ I18N 을 사용할 수 있는 곳 - Main 에서 사용 💡 getMessage("properties 키값", "properties에 전달할값" ,"일치하는 키값이 없을때 기본값", 지역명시) public class Test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
주요 기능은 Configuration Metadata 정보를 관리하고, 컨테이너가 빈을 초기화하기 전에 동작된다. 실습 이전 MyBatis에서 jdbc.properties에 DB를 연동하기 위한 4가지 정보를 설정하고 Configuration.xml 에 불러와 사용했다. 아래는 스프링에서 jdbc.properties 데이터를 정의한다. ① 메타데이터 작성 jdbc.driver=oracle.jdbc.driver.OracleDriver jdbc.url=jdbc:oracle:thin:@localhost:1521:xe jdbc.username=shop jdbc.password=shop ② Bean Configuration xml 파일에 등록 외부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PropertyPlaceholderConfi..
스프링의 IoC 컨테이너는 빈 객체의 생성부터 소멸까지의 생명주기(LifeCycle) 관리를 한다.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호출되는 콜백 메서드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LifeCycle에 따른 빈 객체의 상태를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생명주기 콜백 메서드 사용 방법 인터페이스 InitializionBean DisposableBean 메서드 지정 어노테이션 @PostConstruct @PreDestroy 인터페이스 InitializionBean 인터페이스 초기화 콜백 메서드 제공 afterPropertiesSet() : 의존관계 주입이 끝난 후 메서드 호출 DisposableBean 인터페이스 소멸 콜백 메서드 제공 destroy() : 스프링 빈 소멸 전에 메서드 호출 impo..
빈과 빈 사이의 의존관계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① XML 설정, ② 어노테이션 설정, ③ JAVA 설정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Spring] 의존성 주입 (DI, Dependency Injection) - ① XML 설정 의존성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은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의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의존성과 주입을 결합해서 생각하면 '객체가 필요한 특정 객체를 외부에서 밀어 gangintheremark.tistory.com ② 어노테이션(annotation) 기반 설정 설정 필수 Namespaces 에서 context 체크 필수 @Autowired @Autowired는 스프링 내부에서 자신이 특정한 객체에 의존적이므로 자신에게 해당 타입의 빈을 ..
태그 컬렉션 타입 java.util.List 나 배열 java.util.Set java.util.Map java.util.Properties 컬렉션 원소가 기본타입인 경우에는 태그 이용 컬렉션 원소가 객체인 경우에 태그 이용 스프링에서 namespace를 이용해 컬렉션 타입의 프로퍼티를 설정할 때, 반드시 util 체크 필수 List 주입 순서 있고, 중복 허용 ... ... 💻 List 실습 자바코드 : List catList; Set 주입 순서 없고, 중복 불가 ... ... 💻 Set 실습 자바코드 : Set catSet; Map 주입 key/vale 쌍으로 저장 ... ... 💻 Map 실습 자바코드 : Map catMap; // 메인함수 public class UserMain { public s..
의존성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은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의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의존성과 주입을 결합해서 생각하면 '객체가 필요한 특정 객체를 외부에서 밀어 넣는다'는 의미가 된다. 즉, 어떤 객체가 필요로 하는 의존관계에 있는 다른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가 생성하여 주입하는 것이 의존성 주입(DI)이다. 스프링에서는 ApplicationContext 가 필요한 객체들을 생성하고, 필요한 객체들을 주입하는 역할을 해준다. ApplicationContext가 관리하는 객체들을 빈(Bean)이라 하고, 빈과 빈 사이의 의존관계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① XML 설정, ② 어노테이션 설정, ③ JAVA 설정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XML 기반 설정 방법 1..
Spring은 엔터프라이즈용 Java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편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경량급 프레임워크이다. 엔터프라이즈용 Java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편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스프링이 등장하기 이전에는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기 위해 일련의 작업들을 개발자들이 수 작업으로 처리했다면 현재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같은 도구들이 등장하면서 작업들이 자동화되고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빌드 툴이 발전하면서 개발과정에서 필요한 빌드, 배포, 테스트 등의 작업들도 자동화될 수 있게 되었다. Maven이나 Gradle과 같은 빌드툴을 사용하여 프로젝트의 의존성 관리와 빌드 과정을 자동화하여 개발자는 더욱 효율적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오픈소스 어떤 ..